2025.08.30 (토)

  • 구름많음속초27.1℃
  • 흐림26.8℃
  • 구름많음철원28.0℃
  • 구름많음동두천29.6℃
  • 구름조금파주28.7℃
  • 구름많음대관령24.6℃
  • 구름많음춘천26.2℃
  • 구름많음백령도24.7℃
  • 흐림북강릉27.9℃
  • 흐림강릉29.0℃
  • 구름조금동해29.7℃
  • 흐림서울27.2℃
  • 구름많음인천28.2℃
  • 구름많음원주27.7℃
  • 맑음울릉도31.5℃
  • 소나기수원27.9℃
  • 구름많음영월28.8℃
  • 구름많음충주29.0℃
  • 구름조금서산30.4℃
  • 맑음울진30.5℃
  • 구름조금청주29.7℃
  • 구름조금대전30.7℃
  • 맑음추풍령28.8℃
  • 맑음안동29.9℃
  • 구름조금상주29.8℃
  • 맑음포항32.0℃
  • 맑음군산30.5℃
  • 맑음대구31.9℃
  • 맑음전주30.7℃
  • 구름조금울산32.2℃
  • 맑음창원32.3℃
  • 구름조금광주30.0℃
  • 맑음부산32.6℃
  • 맑음통영29.2℃
  • 구름조금목포31.1℃
  • 맑음여수29.3℃
  • 구름조금흑산도31.1℃
  • 구름조금완도31.0℃
  • 맑음고창30.5℃
  • 맑음순천30.0℃
  • 구름조금홍성(예)31.4℃
  • 구름조금30.3℃
  • 구름조금제주32.2℃
  • 맑음고산30.4℃
  • 구름조금성산30.7℃
  • 구름조금서귀포31.5℃
  • 맑음진주30.2℃
  • 구름많음강화28.8℃
  • 구름조금양평27.0℃
  • 구름많음이천29.2℃
  • 흐림인제25.2℃
  • 구름많음홍천27.8℃
  • 구름조금태백29.1℃
  • 구름많음정선군30.1℃
  • 구름많음제천26.8℃
  • 구름조금보은28.4℃
  • 맑음천안29.3℃
  • 맑음보령30.6℃
  • 구름조금부여29.5℃
  • 맑음금산28.3℃
  • 구름조금30.0℃
  • 맑음부안29.9℃
  • 맑음임실28.7℃
  • 맑음정읍31.1℃
  • 맑음남원28.8℃
  • 구름조금장수27.5℃
  • 맑음고창군30.3℃
  • 맑음영광군30.1℃
  • 맑음김해시32.2℃
  • 구름조금순창군28.2℃
  • 맑음북창원32.5℃
  • 맑음양산시33.2℃
  • 맑음보성군30.5℃
  • 맑음강진군31.6℃
  • 맑음장흥31.3℃
  • 구름조금해남31.2℃
  • 맑음고흥32.5℃
  • 맑음의령군31.2℃
  • 맑음함양군30.5℃
  • 맑음광양시31.3℃
  • 구름조금진도군30.5℃
  • 구름조금봉화29.3℃
  • 구름조금영주29.1℃
  • 맑음문경30.7℃
  • 맑음청송군31.7℃
  • 맑음영덕31.5℃
  • 구름조금의성30.2℃
  • 맑음구미31.9℃
  • 맑음영천31.3℃
  • 맑음경주시32.1℃
  • 맑음거창29.7℃
  • 맑음합천30.6℃
  • 맑음밀양31.5℃
  • 맑음산청29.6℃
  • 맑음거제31.0℃
  • 맑음남해29.3℃
  • 맑음32.6℃
해외 도시와 손잡고 한국형 스마트시티 만든다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해외 도시와 손잡고 한국형 스마트시티 만든다

“스마트 도시개발형”은 해외 도시개발 사업에 스마트 솔루션을 적용하기 위한 마스터플랜, 타당성조사 등 계획수립을 지원하는 사업

국토교통부(장관 변창흠)는 정부 간(G2G) 스마트시티 협력 사업을 발굴하고, 우리 기업의 해외 진출을 지원하기 위해 이달 18일부터 「K-City Network」 사업 국제공모를 시작한다.

「K-City Network」는 지난해 시작한 프로그램으로 첫 국제공모에 전 세계 23개국에서 80건을 신청하는 등 큰 호응이 있었으며, 선정된 인도네시아, 페루, 터키 등 11개국 12개 도시*와 협력하고 있다.

* 말레이시아(코타키나발루), 미얀마(달라), 러시아(연해주), 베트남(메콩델타), 인도네시아(신수도), 페루(쿠스코), 라오스(비엔티안), 몽골(울란바토르), 콜롬비아(보고타), 태국(콘캔), 터키(가지안텝, 앙카라)


올해는 한국형 스마트시티 개발을 희망하는 해외 11개 도시 내외에 ①스마트 도시개발형 계획수립(기본구상, 마스터플랜, 타당성조사 등) 또는 ②스마트 솔루션형(교통·플랫폼·환경 등) 계획수립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특히 올해부터 ③스마트 솔루션 해외실증 지원유형을 새로 도입하여, 우리 기업이 개발하고 스마트 챌린지 사업 등을 통해 상용화된 우수 솔루션 등에 대해 본격적인 해외 진출을 지원한다.

[ ➊ 스마트 도시개발형 ]

“스마트 도시개발형”은 해외 도시개발 사업에 스마트 솔루션을 적용하기 위한 마스터플랜, 타당성조사 등 계획수립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정부 차원의 사업 추진동력을 확보하기 위해 공모 대상사업은 해외 중앙정부·지방정부 등이 추진 중인 신도시, 단지개발(주택, 산업단지 등) 등 중·대규모 스마트시티 사업 등으로 한다.

올해 4개 도시 내외를 선정할 예정이며, 사업 중요도(국책사업 등), 사업성, 스마트 솔루션 도입가능성(기반시설 여건 등), 우리 기업진출 가능성 등을 고려하여 선정할 계획이다.

선정된 도시에 대해서는 사업별로 국내·외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스마트시티 기본구상, 마스터플랜, 예비 타당성조사, 본 타당성 조사 등 계획수립에 곳당 4~6억 원 이내를 지원할 예정이다.

[ ➋ 스마트 솔루션 계획수립 ]

“스마트 솔루션 계획수립형”은 해당 도시의 교통, 환경, 에너지 등 주요 도시문제 해결을 위한 스마트 솔루션을 제시하고, 구축·운영계획 수립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공모주체는 해외 중앙정부·지방정부 등이며, 다양한 분야의 스마트 솔루션(서비스, 플랫폼, 시스템 등) 사업을 대상으로 한다.

선정기준은 도시개발형 사업과 유사하나, 우리 기업의 다양한 솔루션을 동반 수출할 수 있도록 해당 도시의 솔루션 도입 여건 등을 중점 평가하여 4곳 내외를 선정할 예정이며, 계획 수립에 곳당 3억 원 이내를 지원할 예정이다.

계획수립 결과에 따라 향후 본 사업 가능성이 높은 경우, ‘22년 스마트시티 솔루션 실증사업 참여 시 우선 지원할 예정이다.

[ ➌ 스마트 솔루션 해외 실증 ]

“스마트 솔루션 해외 실증형”은 스마트시티 관련 우리 기업의 해외 실증 기회를 부여하기 위해 올해 처음 도입되는 유형이다.

스마트시티 융합 얼라이언스*등 우리 기업이 개발하고, 스마트 챌린지 사업 등을 통해 국내에서 상용화된 솔루션에 대해 해외 실증 기회를 만들어 세계적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도입하였다.

* 스마트시티 관련 대·중소기업 약 504개사로 구성된 민간중심 협의체(‘21.2 기준)


공모주체는 계획 수립형 사업과 달리, 우수 솔루션을 보유한 국내기관·기업이며, 실증을 담보할 수 있는 해외 협력기관과 컨소시엄 구성이 필요하다. 해외에 스마트 솔루션 등이 바로 적용되는 실증사업의 특성 상 솔루션 구축여건을 갖춘 선진국·중진국 등도 대상 도시가 된다.

올해 3개 내외 사업에 대해 사업별 6억 원 이내를 지원할 예정이며, 솔루션 실증을 위한 예비 타당성조사 또는 개념설계(Concept Paper)가 있거나, 실증을 희망하는 국내·외 정부 또는 기관 등에서 사업비를 매칭하는 경우 선정 시 우대할 계획이다.

[ ➍ 공모 절차 ]

올해 K-City Network 사업은 2월 18일 공고되고, 4월 20일까지 약 2개월의 접수기간을 거쳐 6월 말 선정되며, 과업 범위, 난이도, 코로나-19 여건 등을 고려하여 내년 상반기까지 수행할 계획이다.

도시개발형, 솔루션형 계획수립 사업은 서면평가(1차), 상대국과 과업 협상(2차) 등을 거쳐 선정되며, 추후 사업별 용역사를 선정할 예정이다.

솔루션형 해외 실증 사업은 우리 기업이 제출한 사업계획에 대해 서면(1차), 발표 평가(2차) 및 상대국 확인 절차를 거쳐 선정할 계획이다.

공모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국토교통부 누리집(www.molit.go.kr), 스마트시티 종합포털(www.smartcity.go.kr)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

[ ➎ 향후 지원계획 ]

「K-City Network」 사업은 기존 해외 도시개발 지원사업 등과 달리 상대국 정부·공공·기업 등과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양국 정부가 함께 사업을 관리하여 해외 사업의 추진동력을 확보할 예정이다.

또한 완료된 「K-City Network」 사업 중에서 사업 타당성이 있는 민관합작투자사업(PPP)의 경우, 본 사업으로 연계될 수 있도록 PIS펀드* 또는 세계은행(WB), 미주개발은행(IDB) 등 다자개발은행(MDB)과 공동투자 등 후속 재정지원 협의도 적극 추진할 예정이다.


<참고> 글로벌 플랜트·인프라·스마트시티 펀드(PIS펀드) 개요


· (조성규모) 정부재정과 공공기관의 투자를 통해 6천억원 母펀드 조성 및 민간과매칭하여 子펀드 총 1.1조원 조성 완료(‘20.9)

· (용도) 해외 플랜트·건설·스마트시티(1.1조원) 중 2.4천억원을 스마트시티 사업에 투자 가능


국토교통부 최임락 도시정책관은 “「K-City Network」 사업은 전 세계 스마트시티 수요와 인프라 여건 등에 맞게 우리의 스마트시티 개발 경험을 전수하고, 국내 스마트시티 기업의 해외 판로 개척기회를 지원하는 정책수단이 될 것”이라면서, “특히, 올해 처음 도입되는 스마트 솔루션 실증 사업을 통해 한국의 우수한 기술이 해외 실증 실적을 쌓아 전 세계 스마트시티 시장을 주도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해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